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can 통신의 TP protocol 해당 블로그로 공부 -->  https://blog.naver.com/suresofttech/222850407600일반적인 can 통신에서는 최대 8 바이트 정도의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하지만 만약 보내야 하는 데이터의 크기 8바이트를 초과하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 TP 프로토콜 또는 ISO 15765-2라 칭한다.이론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최대로 보낼 수 있는 양인 8 바이트를 초과하게 된다면 이 메시지들을 최대 바이트를 초과하지 않게 나누어서 보내는 방식이다. CAN TP Protocol 구성Single Frame# 데이터가 7byte 이하일 경우데이터가 7byte 이하일 경우 Single Frame이 사용됩니다. Single Frame의 첫 번째 byte는 .. 2024. 9. 24.
통신 오류 검출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통하여 통신의 snr을 높혀 노이즈 내성을 강화 하였다 하더라도, 더 큰 노이즈 등의 원인으로 데이터가 훼손되어 송신 측에서 보낸 데이터와 수신측에서 보낸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명령을 잘못 해석하여 엉뚱한 동작을 하게 만들 수 있기에 안전상의 문제가 될 수 있다.이런 오류를 줄이는 방법은 신호의 SNR 강화를 통한 원천적인 오류를 검출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는 방법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핸드쉐이킹(Handshaking)핸드 쉐이키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 대한 것으로 송신 측이 데이터를 송신하면 수신 측은 잘 받았다는 신호 ACK를 받고 만약 오류가 있거나 신호 자체를 받지 못하였다면  NACK신호를 전송하게 된다.이는 데이터 자체의 오류를 검출 하기 보다는 통신.. 2024. 8. 21.
Single-Ended / Differential single-ended 방식은 클라운드를 기준 전위로 신호의 전압을 측정하여 로직 0,1 을 판단하고 시스템이 차동방식에 비해간단하다. 신호가 3.3v라면 1, 0v라면 0으로 판단하는 것 이다.이 와 같은 방식은 노이즈에 취약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훼손될 수 있어, 노이즈가 그지 크지 않은 곳이다 짥은 거리에서 쉴드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이즈를 차폐하는 경우 사용된다.  Differential 방식은 데이터 송신 tx 수신 rx을 위해 각각 2 개의 서로 반대의 신호 극정을 가지는 신호선 rx+/rx- 와 tx+/tx-을 사용가여 각각 둘간의 전압차를 가지고 로직 0과 1을 판단한다. rx 신호선은 rx+/rx- 두 개의 선으로 구성되며, 신호 출력 부 에서는 서로 반대 극성의 신호를 출력한다.예를 들면 .. 2024. 7. 31.
동기식과 비동기식 직렬 통신에서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의 통신은 클럭 신호의 유무에 의한 구분이라고 봐도 된다.동기 방식은 클럭을 기준 신호로 클럭 신호의 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 하겠다는 약속인 반면비동기 방식은 클럭 신호 없이 주기적인 시간에 의한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 한다.  비동기식 통신 UART, RS422, RS485CNAUSB비동기식 통신은 별도의 클럭 신호선을 갖지 않는 인터페이스 형식이다.대신 각 컴퓨터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각자의 클록을 사용한다.수신부는 시작 비트의 하강 에지를 감지한 후 내부 클록을 이용해 각 비트의 중간 위치에서 비트를 읽어 들인다.  동기식 통신I2CSPII2S동기식 통신은 별도의 클럭 신호선이 필요하며 모든 송수신기는 해당 클럭에 맞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한다.보..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