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콘덴서(커패시터)

by yunchanlee 2024. 10. 16.

커패시터란 두개의 도체 사이의 절연체를 삽입한 구조로, 전기 에너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전압이 인가되면 전하를 충전하고 또 방전할 수 있는 일종의 전기 저장소라 볼 수 있다.

그 그림을 보면 콘덴서를 의미하는 저장탱크에서는 물(전하)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배출(방전)하는 모습으로 비유할 수 있다.

 

dc 전원을 차단

콘덴서는 DC 전원을 차단하고 AD 전원을 통과한는 역할을 수행 한다. 콘덴서는 두개의 도체 사이에 전하가 통과할 수 없는 절연체를 삽입한 구조이기 때문에 콘덴서의 양극에 위치한 전하들이 +극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전하가 없는 양극의 특성을 띠고 음극에서는 -로 부터 전하를 받아 전하가 대부분을 차지한 음극의 특성을 띤다.

전하들이 배터리의 양극에 이동하고 콘덴서의 음극에는 전하가 충전되는 그림


여기서 콘덴서 내 절연체 양쪽에 위치한 음극과 양극의 전압이 같아지게 되면서 더이상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것이 DC가 차단되는 원리이다.

 

AC 의 통과

AC는DC와 다르게 전압의 방향과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이다. 즉 전하의 극성이 주기적으로 양극 또는 음극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 말은 즉슨 충전 상태로 차단이 되었다 해도 양전하에서 음전하로 바뀌어 버린다면 다시 콘덴서의 전하가 이동하게 되므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댓글